본문 바로가기

돈버는 꿀팁

월세 소득공제 세액공제 대상 조건, 연말정산 필요서류, 현금영수증, 청약통장

반응형

벌써 12, 연말정산이 다가오고 있는데요, 월세로 거주하고 있다면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중 어떤 걸 선택하는 게 이득이 될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을겁니다. 저도 월세로 거주할 땐 세액공제 혜택을 받았는데요, 특히 월세가 비쌀 경우 이 돈이 생각보다 큰 금액이기 때문에 연말정산시 꼭 챙기시는 게 좋습니다.

출처 pix4free.org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는 다른데요, 소득공제는 과세표준 구간을 낮추는 효과가 있지만 세액공제는 직접적으로 세금 자체를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부분 세액공제가 유리합니다. 공제금액은 월세액의 10%로 한도는 연간 750만원까지 가능합니다. 참고로 연봉이 5500만원이하라면 최대 12%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물론 모두가 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건 아닌데요, 월세 공제는 무주택자, 국민주택 규모 이하 또는 시가 3억 이하 주택 그리고 총 연봉이 7천만원 이하, 그리고 근로자가 임대차 계약 본인이여야 합니다. 그리고 전입신고도 필수죠.

출처 pixabay

참고로 내가 부동산투자자인데 월세로 살고 있다. 그러면 월세 새액공제 혜택을 받지못합니다^^. 오로지 무주택자만 가능한 혜택입니다. 대학생이라면 내가 아닌 부모님이 대신 계약을 체결한 경우도 있을텐데요, 원래는 안되었지만 2017년부터는 기본공제 대상자인 배우자 또는 생계를 같이하는 부양가족이 계약한 경우에도 월세공제가 가능해졌습니다.

 

필요서류는 먼저 기본적인 임대차계약서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주민등록 등본이나 초본이 필요하며 월세 지금을 증빙할만한 계좌이체 내역이 필요합니다.

출처 pxhere

세액공제가 유리하지만 굳이 월세를 소득공제를 받고싶다면 그 또한 가능한데요,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아야 합니다. 발급을 위해 홈택스에 접속하여 로그인 후 주택임차료 월세 현금영수증 발급을 하면 됩니다. 월세 주택임차료 신고서를 작성하면 매달 월세에 대한 현금영수증이 발급됩니다.

출처 pixabay

이외에도 무주택자라면 청약통장을 통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무주택자라면 혜택을 받을 수 있을 때 최대한 많이 받기를 바랍니다. 유주택자가 되는 순간 연말정산 때 받을 수 있던 혜택이 사라지고 세금이 늘어나게 됩니다. 다주택자 분들은 연말정산 때 연금저축, IRP로 세액공제를 받는 방법이 있긴한데요, 저도 한때 받았다가 요즘은 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 금액을 이른 시기 투자로 사용하는 게 더 유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물론 저축식으로 조금씩 하는 건 괜찮다고 봅니다. 또 각자 투자성향이 다르니깐요.

 

그럼 올해도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