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인해 경제가 안정적이지 못한 가운데 넘치는 현금 유동성으로 테이퍼링, 금리 인상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빅스 지수가 치솟으면서 시장은 공포가 맴돌고 주가도 연일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도 나스닥, S&P, 다우지수 모두 하락을 거듭하고 있으며 예상보다 금리 인상이 빨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달러로 자산이 몰리는 등, 환율이 오르고 안정적인 자산으로 자금을 옮기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지금처럼 금리 인상이 대두될 때에는 은행, 증권, 보험 등 금리 인상 수혜주, 금리 인상 관련주가 떠오르게 됩니다. 금리 인상을 급격하게 하지는 않겠지만 한동안은 은행, 금융, 증권, 보험 등 금리 인상 관련주에 수요가 몰릴 것으로 예측됩니다.
하지만 은행주도 너무 다양하고 많아서 어떤 기업에 투자를 할지 고민이 됩니다. 규모가 큰 기업으로 살펴보면 kb금융, 하나금융지주, 신한지주 등이 있으며 카카오는 요즘 분위기가 좋지 못하지만 카카오뱅크도 꽤 많은 수요를 담고 있습니다.
물론 영업이익이나 실적 등 분석이 다각도로 가능하신 분들은 선호하는 은행주 하나에 집중 투자를 하는 것도 좋지만 안정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은행ETF로 분산투자를 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먼저 대표적인 은행 etf인 KODEX은행을 보면 KB금융, 하나금융지주, 신한지수, 우리금융지수, 카카오뱅크 순으로 가장 비율이 많고 그 외에 기업은행, BNK금융지주, JB금융지주, DGB금융지주를 담고 있습니다. 그 다음 미래에셋의 TIFER 은행을 보면 KODEX은행과 종목은 같지만 kb금융, 하나금융지주, 신한지주의 비율이 타 은행보다 조금 높은 편입니다. 높다고 해도 kodex와 종목 비율 차이가 미미합니다.
kodex은행은 삼성 자산운용으로 보수율은 0.3%, 시가총액은 약 2728억입니다. tiger은행은 미래에셋 자산운용으로 보수율 0.46%로 시가총액은 163억입니다. 보수율로 보나 시가총액으로 보다 kodex가 좀더 유리해보입니다.
은행주는 금리 인상 시기에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며 배당도 받을 수 있어 선호도가 높습니다. 배당률은 주로 4~7% 사이로 현재 DGB은행이 높은 편이라고 합니다. 또한 지방은행의 경우 중간배당을 하지 않아서 연말 배당이 높아 일시적으로 배당수익률이 높아 보일 수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금리인상 시기에는 리스크관리를 위해 은행주, 배당주에 자산을 옮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시기 때 겪었듯이 언제 또 상승이 나타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성장주, 기술주의 경우 각자 견딜 수 있는 저점을 기다린 뒤 때에 따라 분할매수하는 것도 괜찮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요즘 우리나라나 미국이나 주가가 연일 하락하고 분위기가 좋지 못한데 각자 멘탈관리 잘 하시길 바라며 너무 위험한 투자는 삼가하시길 바랍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d 연준 2022년 FOMC일정, 테이퍼링 기준금리 인상, 나스닥1400 코스피2800 붕괴, 하락장 준비 (0) | 2022.01.24 |
---|---|
증권계좌 CMA통장 뜻, 종류, RP, MMF, 중개형 ISA 비교 장단점, ISA 의무가입기간, 서민형, 일반형, 중도인출 (0) | 2022.01.22 |
lg에너지솔루션 lg엔솔 공모주 경쟁률, 청약 후기 결과, 균등배정, 비례배정, 경쟁률, 환불, 상장일, 주가 전망, 따블, 따상 (0) | 2022.01.20 |
1월 공모주 LG에너지솔루션 청약방법 상장일 150만원 주관사 IPO일정 주가 전망, 기업 분석 (0) | 2022.01.17 |
반도체주 ASML홀딩, 해외 반도체 관련주 비메모리 반도체 수혜주 주가 향후 전망, 극자외선 EUV (0) | 2022.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