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종부세 고지서를 받고 다들 충격을 받으셨을텐데요, 종부세가 만만치 않음에도 불구하고 집을 매도하지 않는 건 그 세금을 상쇄할만큼 집값이 오른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겠지요. 결국 세금이 올라도 시장에 주택이 공급되지 않으면 가격은 상승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정부도 이제 세금을 올리기보다 주택 공급에 대한 대책을 내놓으려 하는 거고요.
지금 아무리 주택 공급에 대한 대책을 내놓아도 당장 시장에 주택이 공급될 수는 없습니다. 그 주택들은 당장이 아니라 최소 5년 뒤는 바라봐야 눈앞에 펼쳐질 수 있습니다. 그에 따라 현재 주택이 시장에 나오기 위해서는 다주택자들의 매물을 기다려야 하는데, 다주택자들의 양도세가 너무 크니 아무도 집을 팔려고 하지 않습니다.
당장의 공급을 위해 다주택자들의 양도세 중과를 한시적으로 완화해야한다는 입장도 있는데요, 하지만 정부는 아직 추진 계획이 없다며 의사를 분명히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전에 다주택자 양도세 완화에 대해 배제하지 않고 검토중이라고 하였는데요, 아마 당 내에서도 서로 의견 차이가 있다보니 그런 것 같습니다.
그동안 부동산 정책을 보면 하루아침에 없던 정책이 나오고 있던 정책이 사라졌었는데요, 이러다가 하루아침에 양도세 중과가 완화되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결국 현재 공급이 부족한 시장을 안정화시키려면 양도세 중과 완화카드는 언젠가 나와야하니깐요.
다주택자들은 이럴수록 현재 중과세를 맞고 양도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작년에 양도세 중과나 보유세를 맞지 않기 위해 빨리 매도한 분들이 있는데요, 지금 그분들을 보면 오히려 매도한 것을 후회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봤듯이 세금이 오르는 만큼보다 집값이 더 뛰는 것을 경험했기에 지금 다주택자들은 버틸 때까지는 버텨본다는 입장이 강합니다. 물론 내년에 세금이 어떻게까지 변화할지는 모르겠지만 결국 세금을 견디는 자만이 살아남을 것 같네요.
이 시기에도 매수를 강행하는 다주택자 분들이 꽤나 계신데요, 버틸 수 있는 현금흐름만 만들 수 있다면 어찌되었든 갖고 있는 자산의 크기는 증가할 것 같네요. 그 정도 현금흐름을 뽑아낼 수 있다는 게 부러울 따름입니다. 한편엔 그러기 위해서 지금은 수익형으로 눈을 돌리는 분들도 많고요.
내년 종부세를 미리 계산해보니 어마어마합니다. 저는 올해 추가매수는 조금 어렵다고 보며 갖고 있는 것은 최대한 보유하려고 합니다. 물론 내년에 판도가 어떻게 변할지는 모르겠지만 당장 시장에 주택이 나오지 않는 이상 상승의 흐름을 바꾸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요즘은 부동산 비수기이기도 하고 한동안 큰 상승을 반복했기 때문에 잠깐 쉬어가는 타이밍입니다. 한편에선 조정이라고 얘기하기도 하고요. 하지만 봄이 되면 다시금 상승을 이어나가지 않을까 싶네요. 그럼 올해도 잘 판단하시고 리스크 관리 하시면서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부동산 > 부동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출 원금균등상환 원리금균등상환 만기일시상환 뜻, 대출이자 비교, 장단점, 인플레이션과 대출 (0) | 2021.12.20 |
---|---|
잔금 후 매도인 하자담보 책임기간, 누수 하자보수 책임, 손해배상, 6개월, 1년, 시점 (0) | 2021.12.06 |
남동향 vs 남서향 비교, 아파트 방향 남향, 동향, 서향 북향 로얄동 로얄층 장단점, 선택 방법 (0) | 2021.11.29 |
다주택자 법인 종부세 폭탄, 내년엔 더 오를 예정, 종부세 계산, 절약 방법 (2) | 2021.11.26 |
홈택스 우리은행 종부세 조회, 종합부동산세 고지서 납부 기간, 분할납부 분납 신청, 신용카드 수수료 (0) | 2021.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