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부동산 이야기

서울 아파트 다시 상승세, 부동산 상승 사이클 한 바퀴 더 돌까? 다주택자 전략은?

반응형

한동안 규제가 이어지면서 서울 아파트 거래 절벽이라는 말이 돌면서 침체기가 오는 게 아니냐는 말들이 꽤나 있었고 서울 시장은 좀 잠잠한 편이었지만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잠잠하지 않았습니다. 부동산은 지역에 따라 상승 사이클이 다른데요, 올해 초는 경기도 외곽, 인천의 시장이었다고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서울 아파트의 매수심리가 다시 살아나고 있는데요, 서울 매물이 감소하고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의 매매 수급 지수가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의 중심인 강남권의 상승은 좀 남다르게 봐야 하는데요, 강남권은 전국적인 부동산 시세를 이끌어가고 심리를 자극하는 중심입니다.

6월 이전 절세를 누리기 위한 다주택자들의 매물이 나오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컸지만 생각보다 매물은 별로 없었습니다. 또한 그 동안 오른 게 크기 때문에 나와도 저렴한 가격에 나오지도 않았는데요, 지난 해 세금 때문에 두려워 집을 빨리 판 다주택자들이 이후 집값 상승으로 더욱 큰 손해를 봤습니다. 그러한 경험으로 인해 올해는 세금에 대한 두려움보다 더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가 커져 저렴한 매물은 보기 힘들었습니다.

6월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가뭄에 콩 나듯 나왔던 매물조차 전부 사라질 텐데요, 이미 6월부터는 다주택자의 양도소득세율이 높고 보유세도 낸 뒤기 때문에 굳이 이르게 매도할 이유가 없습니다. 현재 다주택자들은 버틴 김에 더 버텨보자는 입장인데요, 서울의 매물이 조금씩 사라지고 있습니다. 매물감소는 매수로 인해 사라지는 것도 있지만 매도를 하지 않는 영향도 큰 것 같습니다.

꼭 서울에 투자를 하지 않더라도 서울의 흐름은 꼭 주목해보아야 합니다. 서울은 우리나라 부동산 시세를 이끄는 대장으로 아무리 다른 지역의 흐름이 좋다 해도 서울보다 높아질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서울은 전체적인 부동산 분위기를 대변하며 투자심리를 일으키는 원천이 됩니다.

 

기존 부동산은 거의 수요와 공급, 수급으로 시세가 변동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특히 중소도시와 같은 지방은 철저하게 수급에만 영향을 받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그런데 작년부터 투자수요가 몰리면서 공급이 많은 지역도 가격이 상승하고 매물이 사라지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투자자들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지역, 가치가 높은데 공급이 많아 일시적으로 매물이 많아 가격이 못 오른 지역을 찾아다니고 있습니다. 작년에도 봤듯이 서울이라는 천장이 높아지면 경기도, 수도권, 광역시 그리고 지방까지 키 높이를 맞추기 위해 상승하게 됩니다.

 

서울은 현재 그나마 좋은 입지 대비 덜 오른 아파트 위주로 많은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는데요, 외곽 수도권이 꽤나 오르자 투자자들이 다시 서울로 회귀하고 있습니다. 최근 서울이 잠잠하고 외곽과 지방의 장에 머물러 있는 상태였는데 그럼 이제 외곽과 지방의 장은 끝났나는 생각을 할 수도 있습니다만 장기적으로는 외곽과 지방이 더 뛸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지금 서울의 흐름은 전국적인 상승 순환이 또 다시 돌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다주택자는 앞에서 말했다시피 이르게 매물을 내 놓을 이유가 없어졌습니다. 6월에 세금을 내기가 힘들긴 하겠지만 이후 더 큰 수익을 기대되기 때문에 물건을 지키는 것에 집중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새롭게 투자를 하기엔 다소 부담스러운 점이 있지만 단기적인 상승이 기대되는 곳이라면 개인이냐 법인이냐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입니다. 올해도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