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부동산 이야기

대구 아파트 폭락 시작? 대구 수성구 미분양, 대구 부동산 집값 전망, 대구 청약경쟁률

반응형

작년까지 상승을 그칠 줄 모르던 대구에 미분양이 나기 시작했다는 소식이 들리는데요, 개집까지 오른다는 요즘, 대구에 미분양이 쌓이는 이유는 바로 향후 공급물량 때문입니다. 인천도 공급물량이 많지만 인천과 달리 대구만 영향을 받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실수요뿐만 아니라 가수요가 풍부한 수도권과 달리 지방은 실수요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출처 부동산지인

물론 아직 대구는 상승하고 있지만 미분양이 쌓이기 시작하면 곧 하락장을 접어들 가능성이 큽니다. 대구의 주택가격심리지수의 매도세와 매수세를 보면 올해를 기점으로 매도세가 증가하고 매수세가 하락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출처 아실

아무래도 전국적인 대세 상승장이다보니 매수세가 그렇게 꺾이지는 않았지만 공급이 쌓이면서 향후 매도할 사람이 많고 매수할 사람이 적음에 따라 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

출처 부동산지인

아직 올해는 그렇게 입주물량이 많지 않지만 내년 특히 2023년에 엄청난 입주물량이 예고되어 있습니다. 내년부터 서서히 대구의 시장은 달라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물론 지금같은 전국적 대세 상승장이 지속될 경우 하락 폭이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2023년에도 지금같은 장이 이어질 것이라 예상하기는 쉽지 않죠. 장이 좋은 지금도 미분양이 조금씩 쌓이는 시점인데 투자자라면 낙관적으로 미래를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

 

유동성 얘기를 하며 유동성의 장이 수요공급의 장을 이길거라고 말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건 도시마다 다르며 늘 잠재수요가 넘쳐나는 수도권과 달리 보셔야합니다. 부동산을 공부해보신 분들은 아실텐데 대구는 수요공급의 교과서라고 불릴 만큼 수급에 의해 시세가 확연히 달라지는 곳입니다. 과거 데이터를 봤보면 공급이 많을 때 시세가 하락하고 공급이 적으면 시세가 상승하는 모습이 뚜렷합니다.

출처 부동산지인

아직 대구 집값 비싼데? 라며 의문을 가지는 분들이 많은데 보통 청약 경쟁률은 앞으로 시장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경기도, 인천, 수도권의 청약 경쟁률은 여전히 엄청나지만 지금 대구는 미계약률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물론 유동성이 시장을 이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라면 그런 리스크를 안고 들어가지 않습니다. 리스크 없이도 투자할 곳이 있는데 굳이 그럴 필요가 있을까요. 물론 실수요자라면 공급이 많을 때 틈을 노려 들어가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올해도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