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이 코 앞으로 왔는데요, 아파트의 노후화, 주택 공급 부족이 현실화되면서 대선후보들 모두 재건축 규제완화로 인한 주택 공급 활성화를 주요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기존의 35층 규제를 폐지하고 용적률을 500%까지 올리는 등의 방안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노후 아파트가 많은 분당, 일산, 평촌 등 1기 신도시의 재건축, 리모델링의 기대감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서울 한강 주변의 주요 재건축 단지들을 보면 강남구 압구정동 압구정 1~5구역, 송파구 잠실동의 잠실주공 5단지, 광진구 광장동의 극동 1차, 2차 아파트 그리고 영등포구 여의도동의 시범단지, 용산구 이촌동의 한강맨션과 용산구 서빙고동의 신동아 아파트가 있는데요, 층수 규제 폐지 용적률 완화 이슈 이후 기존 매물도 다시 거둬들이는 분위기 입니다.
하지만 아직 안전진단과 재건축 초과 이익환수제에 대한 이슈가 있는데요, 안전진단을 통과하지 못한 곳도 꽤 있고 재초환 부담금이 생각보다 크기 때문에 실이익을 따져봐야 합니다. 안전진단의 경우 시간이 지나고 규제가 완화되면 해결될 일이지만 재초환 부담금 같은 경우 향후 대선 결과, 추후 공략에 따라 어떻게 변할지 모릅니다.
노후화 주택은 서울 뿐만 아니라 분당, 일산, 평촌 등 1기 신도시에도 많은데요, 특히 분당은 판교라는 일자리와 가깝고 주거환경도 뛰어나 웬만한 서울보다 집값이 비싼 곳입니다. 분당의 노후화된 아파트들은 재건축을 하기엔 용적률이 작아 리모델링 이슈가 주를 이루었는데요, 대선 공략 발표 이후 1기 신도시의 정비사업을 위한 특별법을 만들어 용적률을 최대 500%까지 올리면 리모델링은 물론 재건축도 가능하지 않겠냐는 기대감이 커져가고 있습니다.
현재 분당의 삼성한신, 우성, 한양, 현대 등 시범단지아파트들은 분당 재건축연합회를 만들어 참여하고 군포 산본에서도 추진위가 모여 리모델링연합회를 열고 있습니다. 잇따라 분당, 평촌, 산본 등 1기 신도시의 재건축, 리모델링 추진위가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기존 1기 신도시들은 용적률을 이미 많이 차지하여 재건축은 말도 안된다는 의견이 많았는데요, 사실 리모델링보다는 재건축이 훨씬 이득이 큽니다. 현재 집값이 많이 오르기도 했고 용적률까지 올라간다면 리모델링이 아니라 재건축까지 가능할 수 있겠죠.
하지만 공략에는 세입자 일반분양 우선 청약권이나 임대주택 입주권 등 실제 조합원들이 수긍하기 어려울만한 내용들이 많은데요, 이 내용들이 수용되기는 힘든 실정이라 아마 리모델링, 재건축까지 가기에는 꽤나 많은 시간이 걸릴 것 같습니다. 실제로 그렇게 된다면 세입자들을 내쫓고 직접 들어가서 사는 경우가 많아질 것 같네요.
대선결과와 대선 결과 이후 행방에 따라 어떻게 법이 바뀔지는 모르겠으나 주택 노후화와 공급 부족을 맞닥뜨린 만큼 재건축, 리모델링은 불가피해졌습니다. 향후 부동산 정책을 살펴 내집마련, 투자에도 잘 활용하면 좋을 것 같네요. 그럼 올해도 성투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