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한 부동산의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이미 많이 상승했던 지역은 소강, 보합 상태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다시 큰 상승이 오기 위해서는 실수요자, 전세가 가격을 받아줘야 합니다. 특히 수도권이 오랫동안 상승하면서 많이 지친 상태로 보이는데요, 수도권은 상승의 막바지에 이른 상태입니다. 물론 현재 상승을 못할 방해요인이 거의 없어 다시 점프하겠지만 지금은 수도권보다 지방으로 눈을 돌리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아직까지 지방에 대해 선입견을 갖는 분들이 있는데요, 과연 지방이 오를 수 있을까, 매도 때 힘들지 않을까, 들어가자마자 물리는 건 아닐까 걱정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앞으로 오를 폭은 수도권보다 지방에 많다고 봅니다. 물론 그렇다고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로 지방에 들어가는 것은 위험하며 지방에 대한 지역조사가 꼭 필요합니다.
서울은 이미 너무 올라서 내 돈으로는 투자를 못한다며 이번 생에 집 사기는 글렀다고 포기하는 분들이 계신데 그렇게 생각하시면 평생 투자, 내 집 마련은 불가능합니다. 부동산은 자기 자본에 맞게 무리하지 않고도 투자가 가능한데요, 지방 투자의 이점은 매매가와 전세가가 가까워 투자금이 적게 든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물론 똘똘한 한 채가 좋겠지만 똘똘한 한 채라는 기준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내 자본으로 굴릴 수 있는 똘똘한 한 채를 구하시면 됩니다. 월급만으로는 더 이상 내 집 마련은 힘듭니다. 월급은 그냥 투자의 씨드머니를시드머니를 모으는 수단일 뿐이며 시드머니를 굴리고 투자를 하여 자본을 부풀려야 합니다. 세상에 큰 한 방은 없습니다. 작은 자본으로 소액투자부터 시작하여 조금씩 한단계 높은 상위 입지로 뻗어나가면 됩니다.
투자를 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 ‘가격이 싸냐’입니다. 물론 역대 최저가라면 당연히 사겠지만 지금 같은 장에 그런 지역은 거의 없습니다. 지금은 주변 지역과 비교해서 상대적 저렴한지 살펴봐야합니다. 이 지역이 옆 지역보다 싼 지,,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이 아파트가 옆 단지보다 싼 지 살펴 시세를 비교하면 됩니다.
무턱대고 임장부터 시작하는 분들도 있는데 기본적으로 현장에서 시간낭비를 안 하려면 지역분석을 꼭 해야 합니다. 혼자 하기 힘들다면 다른 사람들의 지역분석을 보고 참고하면 됩니다. 또한 지도에 익숙해지는 게 좋은데요, 해당 도시의 형태를 통해 주변 도시와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 파악하고 일자리, 교통, 학군, 상권을 알아야 합니다. 임장은 데이터 조사가 어느 정도 완성 된 뒤 데이터로 볼 수 없는 것들을 직접 보러 가는 겁니다. 이 지역, 아파트에는 어떤 사람들이 사는지, 노부부, 1인가구, 가족단위 어떻게 구성이 이루어졌는지, 지역 분위기는 어떤지 파악하는 게 중요합니다.
내가 살고 싶다기보다 아이를 키울 때 좋은 집을 찾아야 합니다.. 투자자가 아닌 실수요자에서 집을 구하는 건 엄마며 엄마들은 아이들이 거주하기 좋은 지역, 아파트를 고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권도 비선호시설이 아닌 아이들을 키우기 안전하고 엄마들이 이용하기 좋은 상권이 좋으며 초등학교를 품고 있는 아파트는 가치가 높습니다.
투자를 처음 할 땐 확신이 없기 때문에 많이 망설여집니다. 하지만 완벽히 준비되는 시점은 언제나 없습니다. 책, 유투브, 카페를 참고하여 많이 배우고 주변에 투자자를 두면서 정보를 공유해야 합니다.. 투자를 하면서도 지금 나의 투자원칙에 부족한 점은 없는지 잘못된 점은 없는지 계속 개선하고 고쳐나가야 합니다.
단순히 누가 찍어준 지역에 찾아가는 건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내가 공부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누가 찍어준다 한들 그곳에 바로 가서 투자할 판단도 없으며 뒤늦게 찾아가면 이미 투자자들이 다 유입되어 오른 상태일 뿐입니다. 투자는 생존수단이며 계속해서 공부가 필요합니다. 올해도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부동산 > 부동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기과열지구, 조정지역 창원의 향후 부동산 전망, 창원 지역 분석 (4) | 2021.04.07 |
---|---|
거래량 1위 아산 공시지가 1억 이하 아파트, 투자해도 괜찮을까? (2) | 2021.04.06 |
서울vs수도권vs지방, 가장 수익률 높은 투자처는? (2) | 2021.04.02 |
지방소도시 구미 투자가 위험한 이유 & 저평가지역 찾는 방법 (4) | 2021.03.31 |
지방광역시 부동산 흐름(부산, 대구, 대전, 광주, 울산), 지방 소도시 투자 가치? (0) | 2021.03.30 |